Home > 학과안내 > 보건계열 > 보건행정과 > 주요교과목
  • 트위터로 공유하기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인쇄하기

보건행정과

보건·의료 행정에 관한 전문지식을 습득을 통하여 전반적인 병원행정 관리 업무, 건강보험 청구 및 심사업무, 병원코디네이터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을 양성하는 학과

학과문의
061-740-1360, 1352

주요 교과목

교과목 개요

주요교과목소개
개설 교과목명 학점 교과목개요
해부생리학
Anatomical Physiology
3 인체를 중심으로 한 생명현상의 원리를 추구하고 그 이상 상태인 병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의학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학문이다.
원무관리론
Patient Management
2 병원 업무와 관련된 사무관리로 병원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합리적으로 행정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창구접수, 수납, 입·퇴원, 자동차보험, 산재보험 등의 업무를 총괄한다.
병원경영과마케팅
Hospital Management and Marketing
2 병원 정보를 파악하고 정리하여 내부 및 외부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 체계를 구축하여 병원의 의료정보를 고객에게 홍보할 수 있도록 하며, 고객의 병원에 대한 기대치를 파악하여 고객이 만족할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건행정학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2 의료기관이 추구하는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문지식을 교육한다.
보건의료정보관리학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3 의료기관에서 의무기록/의료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의무기록 작성과정, 의무기록 서식 및 병원 통계, 병원인증 심사에 관련하여 학습한다.
국민건강보험론
National health insurance
2 우리나라 건강보험 제도를 이해한다.
보건의료통계
Health Medical statistics
3 다양한 통계기법, 데이터 시각화, 보건 의료 통계 등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보건 의료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병원코디네이터
Hospital Service Coordinator
2 병원 근무자로서 고객 정보를 파악하여 고객의 병원 서비스 이용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고객 응대 기술을(고객 응대, 고객 유형 파악, 접점별 응대 매뉴얼) 익힐 수 있다.
기초의학용어
Basic Medical Terminology
2 최근 의료수요의 증가로 의료기관의 증가와 더불어 의학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다. 때문에 그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과목은 의학용어의 사용 및 해독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병리학
Pathology
3 병리학이란 우리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보건의료데이터관리
Health Care Data Management
3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데이터 모델링과 데이터 모델의 기본 개념의 중요성을 인식함. 응용SW 엔지니어링 직무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구현 기술을 숙달한다.
질병및의료행위분류기초
Disease & Surgical Classification
3 KCD-8 및 ICD-9-CM 이용하여 한국표준질병 및 사인분류, 의료행위분류를 수행한다.
의무기록정보분석실무기초
Practice of Medical record Information Analysis
3 임상 지식을 기초로 하여 진료기록을 검토, 분석하여 질병 및 수술 분류, 암 등록, 진료통계분석, 건강보험 청구 심사 등을 실습하여 보건의료정보 기반 분석 코딩 및 정보 생성 등의 직무 수행에 관한 학습한다.
산재자보청구
Practice of Working Accident & Car Insurance
2 산업재해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원무 행정 처리 절차에 대해서 이론을 습득하고 실무적인 행정서비스를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배우고 실무 능력을 갖춘다.
건강보험이론및실무 기초
Basic Health Insurance Theory and Practice
3 국민건강보험법을 알고 건강 보험의 종류와 국민건강 보험법에 의거한 진료비 산정 방법을 배운다.
전산회계 기초
Basic computerized accounting
2 회계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초정보인 전기분 재무제표를 입력하고 관련 연동 재무제표에 반영되는 과정을 익힌다. 또한 일반전표와 매입매출 전표를 입력하여 장부 반영 및 부가가치세신고서에 반영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실무의학용어
Advanced Medical Terminology
3 신체의 모든 기관과 질병명, 치료 방법 등을 의학용어로 익힌다.
임상검사 및 약리학
pharmacology & laboratory medicine
3 각 질병의 병태의 이해로 적절한 임상검사의 선택과 검사결과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질병에 따른 임상에서 사용하는 약물들의 종류와 작용 기전을 이해하고, 시판되고 있는 약물들의 상품명을 학습한다.
질병및의료행위분류심화
 Advanced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Medical Practices
3 KCD-8 및 ICD-9-CM 이용하여 한국표준질병 및 사인분류, 의료행위분류를 수행한다.
건강보험이론및실무 심화
 Basic Health Insurance Theory and Practice
3 국민건강보험법을 알고 건강보험의 종류와 국민건강보험법에 의거한 진료비 산정 방법을 배운다.
의무기록정보분석실무심화
 Advanced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3 임상지식을 기초로 하여 진료기록을 검토, 분석하여 질병 및 수술분류, 암등록, 진료통계분석, 건강보험 청구 심사 등을 실습하여 보건의료정보 기반 분석 코딩 및 정보 생성 등의 직무수행에 관한 학습한다.
EMR실습
EMR Practicum
2 진료접수와 진료비 계산 수납의 흐름을 이해한다.
손해사정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laim adjuster association
2 금융보험, 법률적 지식을 바탕으로 보험 가입자에게 사고로 인한 손해가 발생했을 때 그 손해액을 결정하고 보험금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계산하고 정하는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3 질병치료가 질병예방을 위한 공중보건학의 목적을 위한 기초지식인 감염병관리, 기생충질병관리, 환경위생, 환경보전, 산업보건, 식품위생, 보건행정 등을 학습한다.
심화의학용어
Advanced Medical Terminology
3 의학용어는 의료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의학용어의 사용 및 해독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병원회계
Hospital Account
3 병원업무와 관련한 병원에서 사용하는 최소한의 회계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병원회계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의무기록정보질향상실무
Practice of Clinical Document Improvement
3 의료진이 정확한 진단명을 기재하고 의무기록정보를 충실히 작성하도록 의무기록정보 품질향상의 지식과 기법을 이해하여 임상의학 및 분류 준칙 기반의 효과적 질의와 의무기록정보 완전성 관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건강정보보호
Health Information Privacy
2 개인건강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관련 법, 보호 및 보안, 기술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정보 보호 및 보안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 정보 보호 및 보안 관리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보건의료관계법규
Public Health Laws
3 보건의료에 관한 법규를 숙지하고 의료기관 종사자로서 정당한 권리와 의무를 행사하게 하는 한편, 업무의 적정을 기하게 하여 국민보건향상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현장실습
Hospital Administration Practicum
3 졸업 후 현장 적응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이론을 바탕으로 의료기관 현장(원무과, 심사실 등)에서 4주간의 실무 감각을 익히게 한다.